top of page

Ahn Sung Hwan is an artist who twists the tradition of performance and happening art by constructing event-based structures using everyday objects and spatial arrangements. His interest lies in events that almost occurred but didn’t, in self-constructed incidents, and in real-life situations. From the tense stillness just before an event unfolds to the moment when the viewer unknowingly becomes entangled, he composes and directs events within unpredictable sculptural systems. His materials are mostly drawn from ordinary life—balloons, tubes, scents, phone numbers, fruits, magnets, even foam rollers. These are not mere props but devices that evoke quiet tension and subtly pull the audience into the unfolding situation. Sometimes he inscribes his phone number on a wall or rubs extracted scent from his body onto viewers, inserting his body and sensory presence into the structure of the event—yet never making himself its focal point. His body operates not as the center of the performance but as a trigger for event activation. This approach is not just a formal experiment but a reflection of contemporary social and emotional conditions. Ahn focuses on the primal survival instincts hidden beneath the civilized surface of society. Even within ideals of moral language, political correctness, and progressive rhetoric, people continue to unconsciously replicate power structures, exclusion, and dominance. He frames this contradiction through the concept of “collective adolescence,” where ethical aspirations coexist with anxiety, desire, and absurdity. Rather than condemning this immaturity, he embraces it as a shared human condition. Within such sculptural compositions, identity is not declared but quietly constructed and performed. His work visualizes a form of performed identity—not as a fixed claim of self, but as an unstable configuration shaped through tools, gestures, and hesitation. Through this, he reveals the terrain of emotional and ideological dissonance that contemporary society prefers to obscure. His works remain not as archival records but as memories; not as exhibitions but as afterimages; not as messages but as experiences. He wants viewers to leave not saying “I saw art,” but “I had a strange experience.” That experience resists definition but returns later as a lingering emotion or sensory memory. Ahn’s work is not simply a physical performance, but a living structure composed of sensation, devices, space, emotion, and uncertainty—a quiet inquiry into how we live today.

안성환은 퍼포먼스와 해프닝 이후의 예술 전통을 비틀며, 일상적인 도구와 구조물을 활용해 ‘사건 기반 구조(Event-based Structures)’를 설계하는 작가이다. 그는 실제로 일어날 수 있었지만 일어나지 않은 사건, 스스로 만들어낸 사건, 그리고 현실에서 벌어지는 사건까지 모두에 관심을 둔다. 사건이 발생되기 직전의 긴장된 공기부터, 관객이 인지하지 못한 채 이미 말려든 순간까지, 그는 예측 불가능한 조형적 구조 속에서 사건을 구성하고 연출한다. 작업에 사용되는 요소들은 대부분 일상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것들이다—풍선, 튜브, 향, 전화번호, 과일, 자석 등—때로는 폼롤러 같은 운동도구가 등장하기도 한다. 이들은 단순한 소품이 아니라, 무언가가 곧 일어날 것 같은 조용한 긴장을 유발하는 도구이며, 관객이 자신도 모르게 사건에 개입되도록 유도하는 장치로 작동한다. 작가는 때로는 자신의 전화번호를 붙여두거나, 향을 직접 몸에서 채취해 관객에게 묻히는 방식 등으로 사건의 구조 안에 자신의 신체와 감각을 배치하지만, 결코 그것을 전면에 드러내진 않는다. 그의 몸은 퍼포먼스의 중심이 아니라, 사건을 유발하기 위한 트리거로 작동한다. 이러한 방식은 단지 예술적 실험이라기보다는, 오늘날 사회의 구조와 감정의 풍경을 반영한다. 안성환은 현대 사회의 외피 아래 감춰진 원초적 생존 본능에 주목한다. 문명화된 언어와 도덕, 정치적 올바름이라는 이름의 이상 속에서도 인간은 여전히 힘과 권력의 위계를 따르며, 때로는 그것을 의식하지 못한 채 누군가를 소외시키고, 배제하고, 이겨내려 한다. 그는 이 모순된 현실을 ‘집단적 사춘기’라는 개념으로 정의하며, 모두가 윤리적으로 올바르길 원하지만 정작 그 이면에는 불안과 욕망, 두려움과 우스움이 공존한다고 말한다. 그의 작업은 그 미성숙함을 고발하지 않고, 오히려 그 안에 인간적 조건의 보편성을 발견한다. 이러한 조형적 구조 속에서 그의 신체와 감각은 중심을 차지하지 않지만, 정체성은 조용히 구성되고 수행된다. 그의 작업은 고정된 자아를 선언하기보다, 구성되고 미끄러지는 ‘수행되는 정체성(performed identity)’의 양태를 시각화하며, 오늘날 사회가 감추고 있는 감정적·이념적 불일치의 풍경을 드러낸다. 작품은 아카이브보다 기억, 전시보다 잔상, 메시지보다 경험으로 남는다. 그는 사람들이 “예술을 본다”기보다는, “어떤 이상한 경험이 남았다”고 말하게 하기를 원한다. 그 경험은 명확하게 정의되지 않지만, 일상으로 되돌아간 후에도 다시 떠오르는 감정과 감각으로 작동한다. 안성환의 작업은 단지 신체적 퍼포먼스가 아니라, 감각, 도구, 공간, 정서, 망설임이 엮여 구성된 살아 있는 구조이자, 오늘날을 살아내는 방식에 대한 조용한 질문이다.

Studio Ahn Sung Hwan  ©  2024, All rights reserved

bottom of page